본문 바로가기

RAC

(5)
시퀀스 생성 후 대량 데이터 insert 시 발생하는 대기 이벤트 확인 ■ row cache look 정보 select pool, name, bytes/1024/1024 kb from gv$sgastat where name = 'row cache'; ■ 양쪽 node의 딕셔너리 정보 확인select inst_id, cache#, type, parameter from gv$rowcache order by 1,2; ■ 시퀀스 생성해보기create sequence hr.seq1 nocache;select * from dba_sequences where sequence_owner = 'HR' and sequence_name = 'SEQ1'; # 양쪽 node에서 진행 - 동시 진행HR@racdb1> execute dbms_application_info.set_client_in..
control file 다중화, data file 장애 시 RMAN을 통해서 복구 방법 ■ Control file 다중화select inst_id, name from gv$controlfile;▶ node가 달라도 control file의 정보는 같아야 하기 때문에 같은 결과가 나온다. # disk 확인select group_number, name, type, state from v$asm_diskgroup; # control file 확인show parameter control_files▶ static parameter이다. # control file 3중화하고 싶을 경우 1. 수정alter system set control_files = '+DATA/racdb/controlfile/current.260.1199030393,'+FRA/racdb/controlfile/current.256..
RAC 공유 스토리지와 cluster, OCR, vote disk, CSS appears healthy, EVM appears healthy, Global Cache(buffer), Cache Fusion, GRD, 3가지 block에 대한 node의 정의 및 실습 ■ RAC 사용 시 현장에서 데일리 체크 # cat /etc/hosts▶ Public : 외부 클라이언트들이 node로 접속할 때 사용하는 IP ▶ Private : node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IP ▶ Virtual : Load Balance, Failover를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IP ▶ grid scan : Virtual IP를 찾아서 연결해주는 IP, Oracle의 권장사항은 IP 3개이다. ■ RAC 공유 스토리지 - 여러 node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한다. - 각 node는 SAN(Storage Area Network) 스위치를 통해 스토리지와 통신한다. - raw device 1) file system을 사용하지 않고 원시적 형태의 d..
RAC 셋팅, TAF, CTF 기능 구현 ■ Oracle Home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셋업하기 ▶ 자동으로 셋업이 된다. ■ 프롬프트 셋업 ▶ 코드에 $ORACLE_HOME 보다 $DB_HOME으로 하는 게 더 낫다. - grid home도 지정 ■ 현재 RAC 상태를 확인 - 한쪽 node에서 확인하면 된다. - 명령어 : crs_stat -t▶ RAC의 서비스들이라 생각하면 된다. ▶ Target과 State(현자상태)가 같으면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. ▶ OFFLINE들은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다. ■ 현재 DB 상태, 모든 instance 정보 - 한쪽에서 확인해도 된다. - 현장 가서 출근하면 instance가 다 떠있는지 바로 체크해야 한다. ex) 특정 instance 상태 정보 확인ex) 한 번에 다 보고 싶을..
RAC 설치 ▶ 이름이랑 폴더명은 상관없다. ▶ 종류는 Linux, 버전은 Linux 64bit로 설정하기 ▶ Ctrl + Alt로 설정하는 게 편하다. ▶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이걸 설정해야 한다.▶ 가끔 안 될 때가 있기때문에 고급 설정에서 모두 허용으로 해주기 ▶ 내부에서 소통하기 위해선 이걸 설정해야 한다. ▶ 나중에 파일을 공요할 때 편리를 위해 파일을 만들어서 설정해 놓는 게 좋다. (아무 파일 가능)▶ 자동 마운트 선택 후 확인▶ 이 작업은 옵션이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하면 된다. ▶ Oracle 화면 뜨면 Enter 누르면 된다. ▶ 방향키로 조절해야 한다. ▶ warning 떠도 그냥 진행하면 된다. ▶ /boot라는 디렉터리가 생성된 것이다. ▶ swap을 생성한 것이다.▶ size는 초기에 생..